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9

AI시대 코치의 역할 - 앞선 글에서 AI 시대를 살아가야 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서, '코칭은 어떻게 달라져야 할까요?'라는 물음만을 던지고 마쳤던 것 같습니다.https://learn2fun.tistory.com/33 AI 시대의 코칭이란?생성형 AI 기술과 서비스가 일상의 업무 환경 전반에 활용 되면서, 요즈음은 AI 라는 키워드를 제외하고 업무 계획을 논의하는 것 조차 어렵게 된 것 같습니다. 아래와 같이 검색 엔진에 "ai 기술learn2fun.tistory.com 이번에는 조금 더 들어가서 'AI 기술 변화의 미친 가속도' 안에서 생업을 위해 일을 해야 하는 사람들에게 '코치는 과연 어떤 역할'을 해 주어야 하는지?에 대한 생각을 나눠 보고자 합니다. 한국 코치 협회에서 정의하는 코칭의 정의는 아래와 같습니다.. 2025. 7. 18.
AI 시대의 코칭이란? 생성형 AI 기술과 서비스가 일상의 업무 환경 전반에 활용 되면서, 요즈음은 AI 라는 키워드를 제외하고 업무 계획을 논의하는 것 조차 어렵게 된 것 같습니다. 아래와 같이 검색 엔진에 "ai 기술 도입에 따른..." 이라는 말머리만 입력을 해도, "기업들은 AI 기술을 활용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 업무 방식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노동 시장에서는 ai 도입으로 인해 직무 개편 및 ... 기존 일자리의 소멸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와 같은 요즘 기업들이 겪고 있는 매우 큰 변화를 설명주고 있습니다.(사실 이 내용도 검색 엔진에 탑재된 ai agent가 탐색의 결과를 요약해서 보여주고 있는 것이고요.) 그런데 사실, ai 기술이 기업들에게 전에 겪어 보지 못했던 크나큰 '위기와 기회'를 줄 수 .. 2025. 7. 4.
이름 붙이기의 어려움 오랜 시간 기다려온 소중한 아가의 이름을 짓는 문제부터, 별 것 아닌 행사 제목을 정하는 문제까지 무언가의 이름을 찾는 것은 정말이지 십지 않다. 그래서 회사 안에서도 새로운 서비스 혹은 프로덕트의 출시를 앞두고 있을 때, 그 이름을 정하는 문제로 꽤 고심을 하곤한다. ( 매우 중요도가 있고 큰 자본이 투입된 케이스일 경우 외부 전문기관에 의뢰를 한다거나, 그렇지 않다하더라도 최소한 담당자들이 머리를 싸매다가 약간의 상금을 걸고 사내 공모라도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과연 프로덕트의 이름이 그렇게까지 중요한 것일까? 프로덕트의 이름을 잘 지은 덕분에 성공한 케이스가 많이 있는 것일까? 서비스의 이름을 짓는데 들이는 노력이 과연 생각만큼 유의미한 것일까? 궁금해져서 찾아보았다. 이름 붙이는데 별 고.. 2022. 4. 16.
나의 첫 서버리스(Serverless) 체험기 서버리스 컴퓨팅 개념이 등장한지는 꽤 오래되었습니다. (검색을 해 보니 2014년도에 등장했었다라고 하네요..) '서버리스'라는 개념을 처음 접했을 때, 저는 '꽤 파격적이네..' 라고 인상깊게 생각했었던 기억이 납니다. IT 워크로드를 수용하는 인프라가 계속 경량화되어 가는 흐름 속에서, 서버리스는 무언가 궁극의 종착점 같은 느낌이었다고 할까요. (물리서버 -> 가상화 -> 클라우드 -> 컨테이너 -> 서버리스 -> Next?) 자신이 만든 애플리케이션(혹은 코드 덩어리)을 실행하기 위해서 '직접 서버를 관리할 필요가 없다'라는 컨셉이 뭐랄까, 미래 지향적인 느낌이었습니다. - 서버리스도 사실은 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런타임(컨테이너 환경과 같은)이 필요하고, 누군가(CSP등)는 그것을 관리해야한다라는 .. 2021. 8. 6.
독서 노트 - 싱크어게인(Think Again) 애덤 그랜트라는 작가에게 끌려서 빌리게 된 책이다. 솔직히 그의 책을 많이 접해 보지는 았았으나, 그의 저작들에 대한 관심은 늘 있어왔다. (관심은 있었으나 읽지 못했던 그의 책: '오리지널스', '기브앤 테이크') 제목 그대로, '다시 생각해보기'의 중요성에 대해서 이론과 풍부한 사례로서 알기 쉽게 설명해 주는 책이다. '다시 생각해보자'라고 말은 하기 쉽지만, 막상 실천하기는 쉽지 않은 것 같다. 어떤 사람이나 분야에 대한 '생각'을 바꾸지 않거나, 바꾸지 못하고 있는 사례는 찾아보면 꽤 많이 있을 것이다. - 가까운 사람(예를들어, 가족 누군가)에 대해 가지고 있었던 선입견 - 정당 혹은 정치인에 대한 견해를 수정하지 않고 있는 것 - 직장 동료에 대한 판단 혹은 평가를 바꾸지 않고 있는 것 - 어.. 2021. 7. 20.
독서 노트 - 일상적이지만 절대적인 뇌과학지식 50 잘 모르는 분야에 대해 첫 발을 들여 놓을 때면, '누가 대강이라도 소개 좀 해주면 좋을 텐데...'라는 바램을 갖게 된다. '뇌 공부'를 시작하는 상황에서.. 그 바램을 이루어 줄 것 같은 책을 만나서.. 빌리게 되었다. "일상적이지만 절대적인 뇌과학지식 50" 기억에 남는 한 문장 살면서 우리가 하는 모든 행동(모든 것)은 우리의 뇌를 재구성한다. (신경 가소성: 뇌는 끊임없이 바뀐다/변화한다) 주요 내용 요약 01. 신체 인식 뇌는 신체의 표상을 부호화한다. 신체에 대한 인식은 '(신체에 대한)소유인식'과 '동인/자유의지(스스로 자기 신체를 관리하고 행동을 책임진다)'라는 2가지 요소로 이루어 진다. 02. 자유 의지 연구 결과에 의하면 사람이 특정 행동을 하겠다는 생각(의식)을 하기 전에(1.5초.. 2021. 6.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