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ech-Cloud7

나의 첫 서버리스(Serverless) 체험기 서버리스 컴퓨팅 개념이 등장한지는 꽤 오래되었습니다. (검색을 해 보니 2014년도에 등장했었다라고 하네요..) '서버리스'라는 개념을 처음 접했을 때, 저는 '꽤 파격적이네..' 라고 인상깊게 생각했었던 기억이 납니다. IT 워크로드를 수용하는 인프라가 계속 경량화되어 가는 흐름 속에서, 서버리스는 무언가 궁극의 종착점 같은 느낌이었다고 할까요. (물리서버 -> 가상화 -> 클라우드 -> 컨테이너 -> 서버리스 -> Next?) 자신이 만든 애플리케이션(혹은 코드 덩어리)을 실행하기 위해서 '직접 서버를 관리할 필요가 없다'라는 컨셉이 뭐랄까, 미래 지향적인 느낌이었습니다. - 서버리스도 사실은 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런타임(컨테이너 환경과 같은)이 필요하고, 누군가(CSP등)는 그것을 관리해야한다라는 .. 2021. 8. 6.
Cloud 기반의 고가용성 아키텍처 #1 - DB 구성하기 Cloud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를 설계할 때, '고가용성'은 빠질 수 없는 키워드입니다. 고가용성은 아래의 정의처럼, 쉽게 설명하자면 '절대 고장(fail)'나지 않는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고가용성이란? 서버와 네트워크, 프로그램 등의 정보 시스템이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정상 운영이 가능한 성질을 말한다. 고(高)가용성이란 "가용성이 높다"는 뜻으로서, "절대 고장 나지 않음"을 의미한다. ko.wikipedia.org/wiki/%EA%B3%A0%EA%B0%80%EC%9A%A9%EC%84%B1 고가용성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가용성(高可用性, HA, High Availability)이란 서버와 네트워크, 프로그램 등의 .. 2021. 3. 23.
Cloud 기반의 가용성과 확장성을 고려한 웹 호스팅 환경 구성 Cloud로 IT 워크로드를 수용할 때 가장 기본적으로 구성하게 되는 아키텍처는 웹 호스팅 형태일 것입니다. 즉, 'Web - App. - DB' 서버로 구성되는 3-Tier 웹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입니다. Cloud 기반의 아키테처 구성 시 고려할 요인이 많이 있겠지만, 가용성과 확장성을 고려한 '웹 호스팅 환경 구성(웹 애플리케이션)' 사례를 찾아 보았습니다. ㅇ 기존(Non-Cloud)의 웹 호스팅 구성 사례 - 내/외부 방화벽(물리 혹은 소프트웨어)으로 보안을 보장 - 웹/앱 로드밸런서(물리 혹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부하를 분산 - 다수의 서버를 로드밸런서 하위에 구성하여 가용성을 보장 -> 하지만, 정적인 워크로드 예측에 기반하여 인프라를 준비함으로 확장성을 효율적으로 고려하기 어려움 -> 즉.. 2021. 3. 17.
Amazon에서 AWS가 가지는 의미,존재감 Amazon은 2006년에 오브젝트 스토리지 서비스인 S3를 시작으로, 최초의 Public Cloud 서비스인 'AWS'를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어느덧 15년이 지났습니다. 꽤 오랜 기간 동안 AWS는 Amazon에서 수익(Profit)을 내지 못하는 비즈니스였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재무 실적을 발표하는 데이터에서도 한동안 별도의 독립된 카테고리로 분류하지 않았었고요...) 그랬던 AWS는 이제는, Amazon이 창출하는 이익의 과반을 담당하는 엄청난 규모의 비즈니스가 되었습니다 ('20년 기준으로 수익의 59%를 AWS가 담당, 매출 비중 상으로는 12%로 매우 수익성 높은 비즈니스임) 이러한 중요성을 반영한 결정인지 모르겠지만.. 그동안 AWS를 총괄했던 앤디 제시가 제프 베조스 후임으로 Amazo.. 2021. 3. 15.